따라하기

로켓덕과 GRASS_BMGR 결합의 실제

benari 2014. 10. 24. 00:02

로켓덕과 GRASS_BMGR 결합의 실제

 

각종 복원솔루션 테스트 하느라 SSD에 무리가 갔는지

SSD가 나가는 바람에 PC자료 복원하느라 늦었습니다.ㅠㅠ;

<!--[if !supportEmptyParas]--> <!--[endif]-->

들어가면서.....

    복원솔루션이라고는 관심도 없었는데 때는 올 3월즘? 우연히 윈포 자료실에서 발견한 mbrhotkey로 인해서 복원솔루션과의 인연을 시작했습니다. 그 당시 아 저것을 이용하면 흔히 보던 브랜드PC 복원솔루션을 흉내낼 수 있겠네 하면서 생각을 하였고, 때마침 AOMEI 가 PE형태로 올라오면서 저 둘의 조합이면 생각하던 그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고 삽질을 시작하였습니다. 원래 저는 pc사면 리커버리영역 용량도 아까워서 날리고 보는 입장이었고 MBR라는 개념도 없었는데 어쩌다보니 ㅋㅋ 각종 복원솔루션들을 사용해보고 이식하는 방법까찌 알아보게 되었네요. 아마도 MBRHOTKEY가 없었더라면 그냥 아직도 Vfdd + 스누피고스트로 해결했지 싶네요. 복원솔루션에 대한 각종 정보와 독창적인 자료들을 제공해 주시고 많은 도움을 주심 바보고집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아마도 바보고집님의 개인적인 작품을 접하는 것도 이것이 마지막인 것으로 생각이 들어서 한번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대부분 인터넷에 공개된 사용법이고 자료들입니다. 그래서 고수분들이 아닌 최대한 저와 비슷한 경험자분들의 눈높이에 맞추는데 초점을 두었습니다. 

 

준비물

  o GRASS_BMGR ((바보고집님 제작)

  o 로켓덕(세팅완료) + 공개유틸 + winpeshl.ini 다운로드  util.zip

  o BMGR32 - 직접 제공하지 않습니다.

  o Windows 7 32비트 DVD - 직접 제공하지 않습니다.

  o ghost32.exe, Ghostexp.exe - 직접 제공하지 않습니다.

  o 윈도우PE - 직접 제공하지 않습니다. 모든 작업은 윈도우pe상에서 진행됩니다.

 

* 로켓덕과 공개된 유틸리티 외에는 직접적으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업무용으로 BMGR 사용시 저작권에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

1. 사전 준비 GRASS_PE.ISO 만들기

 

    1) WINDOWS7 DVD에서 부팅환경 추출하기

 

       (1) 작업할 디스크에서 ISO폴더를 생성합니다.

 

     (2) 윈도우7 32비트 DVD에서 BOOT 폴더와 BOOTMGR을 복사하고, 같은 위치에 SOURCES 폴더를 생성합니다.

 

     (3) GIMAGEX를 이용하여 윈도우7 DVD SOURCES 폴더에 BOOT.WIM(3)에서 생성한 SOURCES폴더로 추출합니다. BOOT.WIM 인덱스 2번 설치인덱스를 추출하세요. 

 

 

 

    2) BOOT.WIMGRASS와 로켓덕 복사하기

       (1) GIMAGEX를 이용하여 BOOT.WIM을 원하는 위치로 마운트 합니다.

 

       (2) 다운받은 GRASS폴더와 RocketDock폴더를 boot.wim-Windows 폴더에 복사합니다. 이때 ghost32.exe, Ghostexp.exe를 GRASS폴더에 같이 넣어두어야 GRASS가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GRASS는 GHOST를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원클릭 매니져툴입니다.

 

 

 

    3) 로켓덕 환경설정 및 실행환경 마무리

 (* 제공된 파일은 바로 사용가능한 상태이나 유틸들을 직접 추가하거나 삭제시 아래의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1) RoketDock의 환경을 사용자가 추가한 유틸에 맞게 수정합니다.

             - 환경을 수정할 로켓덕 아이콘에서 오른버튼을 눌러 아이콘 설정을 누릅니다.

 

             - 다음과 같이 아이콘의 이름과 파일 위치, 작업 폴더를 지정하고 기본아이콘을 눌러 아이콘을 설정합니다.

 

              - 기본 설정 후 드라이브 경로를 BOOT.WIM의 윈도우 환경변수 %WINDIR%로 수정한 뒤 확인을 눌러 마무리 합니다.

 

             - 나머지 추가할 유틸들도 상기의 순서로 추가 하고 아이콘 사이의 세로줄은 다음과 같이 아이템 추가 구분선을 눌러 추가하면 됩니다.

 

 

  <!--[if !supportEmptyParas]-->      (2) 복원영역으로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될 프로그램을 BOOT.WIM-WINDOWS\SYSTEM32\winpeshl.ini 파일에 다음과 같이 지정합니다. 역시 직접 수정하기 귀찮으면 상기에 제공된 파일을 해당 위치에 복사합니다. 이때 같은 폴더에 SETUP.BMP를 복사하면 원하는 배경화면을 복원솔루션 배경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모든 작업이 완료 되면 BOOT.WIM에 작업한 결과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GIMAGEX에서 변경 내용 저장을 체크하고 마운트 해제를 눌러 저장합니다.

 

 

    4) GRASS_PE.ISO 생성하기

 

탐색기를 열고 iso 폴더에 오른 버튼을 누른 뒤 UltraISO iso.iso에 추가를 눌러 ISO를 생성하고 이름을 GRASS_PE.ISO로 만듭니다 

 

 

 

 

-------------------------------------------------------------------------

사전 작업 GRASS_PE.ISO 만들기가 완료 되었습니다.

-------------------------------------------------------------------------

2. BMGR32로 복원영역 기본구성하기

 

    1) 사용 중인 윈도우환경에 복원파티션 구성하기

파티션툴을 사용하여 윈도우나 DATA 파티션에서 20gb정도의 용량을 때어내어 복원파티션용으로 할당합니다. 서비스파티션의 포맷은 NTFS로 지정합니다. BMGR32버전을 사용하는 이유가 백업파일 용량DL 4GB이상 되는 경우가 많아 NTFS로 사용하기 위함 입니다. BMGR 도스용 버전은 FAT32로 사용함에 백업파일 용량 제한이 있습니다.

 

    2) BMGR32로 복원파티션 레이블 확인하기

인터넷에 사용자들이 배포하는 BMGR32는 사용자들에 의해 수정된 버전이 많이 있습니다. 그 중엔 서비스파티션 레이블도 포함되는데 보통 수정된 레이블은 RECOVERY가 제일 많이 퍼져있고, 무수정 버전은 IBM_SERVICE 혹은 IBMSERVICE로 되어 있습니다. HXD등의 헥사툴로 확인을 하여도 되지만 해당 주소를 찾기가 번거로우므로 그냥 BMGR32 /V 로 다운받은 BMGR32의 서비스파티션 레이블을 찾으면 됩니다.

 

 

 - IBMSERVICE :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면 해당 BMGR32의 서비스파티션 레이블이 맞습니다. 이대로 지정하면 됩니다. 

 - RECOVERY : 현재 버전은 RECOVERY로 된 서비스 파티션을 찾지 못하므로 알맞은 레이블이 아닙니다.

 

 - IBM_SERVICE : 현재 버전은 IBM_SERVICE 로 된 서비스 파티션을 찾지 못하므로 알맞은 레이블이 아닙니다.

    3) BMGR32 MBR에 기록하기

       - 이제 다음 커맨드를 이용하여 BMGR을 MBR에 기록할 차례입니다. 

          다음 명령 3줄을 install.cmd로 저장하고 실행하면 순식간에 설치됩니다.

          Set.txt는 아래 설명을 보고 미리 작성하여 같은 폴더에 넣어 두셔야 합니다.  

          BMGR32 /Fbootmgr.bin /CFGSet.txt /M2 /OEM /V

          BMGR32 /HS /P12 /V

          BMGR32 /INFO

 

       - BMGR32를 BMR에 기록하는 커맨드 옵션의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BMGR32 /Fbootmgr.bin /CFGSet.txt /M2 /OEM /V

          /Fbootmgr.bin - BMGR의 MBR파일을 지정합니다. 보통 같은 폴더에 들어 있습니다.

            /CFGSet.txt - BMGR 복원영역으로 진입할 핫키와 핫키를 누를 대기시간 그리고 메시지가 지정된 SET.TXT를 지정합니다.

                              SET.TXT의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 메모장으로 직접 원하는 값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PROMPT1=To Start the Product Recovery program, press F11>
                             <Key1=F11>
                             <Wait=10>

                             (10이 2.5초에 해당됩니다. 0.25에 Wait숫자를 곱한 값이 대기시간이 됩니다.)

            /M2 - 

            /OEM - OEM은 IBM Lenovo PC가 아닐때 넣어주는 옵션입니다. 

          /V - 해당 커맨드가 실행되는 과정을 숨기지 않고 그대로 출력시키는 옵션입니다.    

                     

          BMGR32 /HS /P12 /V

           /HS - 해당 서비스파티션을 숨기는 TYPE를 12로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P12와 세트옵션으로 같이 사용해야 합니다.

             /P12

             /V - 해당 커맨드가 실행되는 과정을 숨기지 않고 그대로 출력시키는 옵션입니다. 

 

          BMGR32 /INFO - BMGR32로 MBR에 기록한 설정값을 확인하는 커맨드 입니다.

  

    4) BMGR 복원파티션에 GRASS_PE.ISO 복사하기

 이제 BMGR32 복원영역 만들기의 마지막 과정인 복원솔루션이 들어 있는 GRASS_PE.ISO의 모든 파일을 복원파티션인 IBMSERVICE로 복사합니다.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지정한 F11등 핫키 메세지가 나오는지 확인하고  해당 핫키를 눌러 다음과 같이 복원솔루션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합니다.

 

 

-------------------------------------------------------------------------

BMGR32으로 복원영역 구성이 완료되었습니다.

 

-------------------------------------------------------------------------

 <!--[endif]--> 

3. GRASS_BMGR 실제 사용법

    1) GRASS_BMGR로 윈도우 시스템 백업하기

    2) GRASS_BMGR로 윈도우 시스템 복원하기

    3) GRASS_BMGR의 기능소개 (링크대체)

       http://blog.daum.net/benari/5441146 (2.0버전과 bmgr버전의 복원영역내 기능은 동일합니다.)

----------------------------------------------------------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GRASS_BMGR 버전을 로켓덕과 BMGR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항상 그랬듯이 저작권자료는 직접 제공하지 않으니 직접 구하시고 만들어 보셔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util.zip
7.8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