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Key Recovery 8 한글환경 구성 GUIDE
OneKey Recovery 8은 레노버사의 PC제품에 내장되어지는 EFI 시스템 백업·복구 솔루션입니다.
이제부터 OKR8 환경의 한글화와 완전 초기화된 PC에 새로 설치하는 과정을 알아보곘습니다.
▣ 필요사항
☞ UEFI 지원시스템 (*MBR지원은 원키 6, 7, 7.2 버전)
☞ USB 부팅지원
☞ 클린설치용 윈도우 8 64BIT DVD [윈도우7 64비트도 가능]
☞ OKR8.ISO (Without_OS)
☞ 한글 윈도우8 DVD BOOT.WIM ( INDEX 2 )
☞ LRS.WIM 편집을 위한 윈도우PC OR 윈도우PE
1. 한글 OKR8 USB 만들기
OKR8의 LRS.WIM은 기본언어가 중국어 버전으로 한글환경에 대응하지 않습니다.
정식으로 한글환경을 만들자면 윈도우7 AIK 배포킷을 설치하여 LRS.WIM에 한글언어팩을 추가하여야 하나 매우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작업입니다. 그래서 본 설치 과정에서는 이미 한글환경이 만들어진 한글윈도우8 설치 DVD에 내장된 BOOT.WIM을 추출하여 이용하고자 합니다. LRS.WIM내에서 실질적으로 OKR8의 동작에 필요한 파일은 onekey\main\LRSboot.exe뿐이므로 이 파일만 BOOT.WIM에 이식하면 간단하게 한글환경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1) OKR8을 ULTRAISO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USB에 기록합니다.
2) GIMAGEX를 이용하여 OKR8 USB내 LRS.WIM을 적당한 폴더에 마운트 합니다.
3) 마운트한 폴더에 들어가서 onekey폴더를 작업폴더로 추출하고 LRS.WIM을 언마운트 합니다.
4) GIMAGEX를 이용하여 한글 DVD내 BOOT.WIM을 불러 2번 INDEX를 추출합니다.
5) 추출한 2번 INDEX BOOT(LRS).WIM을 GIMAGEX를 이용하여 마운트 합니다.
6) BOOT(LRS).WIM을 마운트한 폴더로 들어가 3)에서 추출한 onekey 폴더를 복사해 넣습니다.
7) 메모장을 열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적고 winpeshl.ini라는 파일을 만든 후 windows/system32 폴더에 복사해 넣습니다.
[LaunchApps]
%SYSTEMDRIVE%\onekey\main\LRSBoot.exe
8) 기본이식이 완료되었습니다. 열린 탐색기를 모두 닫고 BOOT(LRS).WIM을 언마운트 합니다.
9) LRSBoot.exe을 이식한 BOOT.WIM을 LRS.WIM으로 이름을 변경하고,
OKR8 USB okr8\LRS_ESP\OneKey\winpe 내 LRS.wim과 교체합니다.
10) OKR8 UI의 한글적용은 USB내 okr8\LRS_ESP\OneKey\MAIN 폴더 에서
LRS-Config.xml 과
LRS-Config-Org.xml 을
메모장으로 열어 zh-CN으로 된 부분을 모두 ko-KR로 변경합니다.
▣ OKR8의 한글환경 구성이 모두 완료 되었습니다.
이제부터 OKR8 PE 로 부팅하면 모든 메세지가 한글로 출력이 됩니다.
2. OKR8 및 시스템 설치 는 아래 사용기 게시물 참조
'따라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R 및 EFI] OKR8.1 간단 언어변경 (0) | 2014.12.09 |
---|---|
[MBR 및 EFI] OKR8.1 소식 - 작동확인완료 (0) | 2014.12.08 |
복원영역 구축용 공개 MBR 간단사용법 (0) | 2014.10.28 |
로켓덕과 GRASS_BMGR 결합의 실제 (0) | 2014.10.24 |
OneKey Recovery 8...... (0) | 2014.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