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버그를 많이 고치셨다고 합니다.
전 샐행되는 방법만 찾아서 테스트를
한지라 마루타로서의 역할은 O입니다. ^.^
기본 외형은 테스트판과 동일하구요.
기능상 달라진 것이 리커버리 부팅을
WIM ISO menu.lst등으로 직접 지정이
가능해 졌습니다.
기본적인 복구영역 구성은 아래 게시물 참고하세요~~
오늘은 복구시스템 선택에 따른 방법을 한번 살펴 보았습니다.
1. 복구 시스템 선택의 WIM 부팅은
일반적인 boot, bootmgr, bcd로 구성된
파티션을 복구영역으로 만드는 기능입니다.
RECOVERY 파티션에 BOOT, BCD, BOOT.WIM을 복사하고 Grub For Recovery Solution을 실행하여 복구 파티션을 구성합니다.
옵션 선택 후 확인만 누르면 고민할 사이없이 자동으로 복구환경이 적용됩니다.
복구파티션에 생성된 부트로더입니다. Grub MBR에서 해당 부트로더를 추적하여 부팅됩니다.
복구영역 진입 메세지입니다. 직접 입력한 메세지와 핫키가 잘 나타납니다.
복구파티션에 복사해둔 IMXRS GUI버전으로 부팅완료......
2. iso는 부팅가능한 Recovery.iso로
직접 부팅하는 기능입니다.
기본적인 옵션을 지정하고 iso부팅을 선택합니다.
역시 확인을 누르면 자동으로 복구환경이 구성됩니다.
wim부팅의 부트로더와 용량이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exa로 열어보진 않았지만 iso부팅기능으로 볼때 아마 GRUB부트로더로 예상됩니다.
메세지 POWER RECOVER로 지정하엮는데 이상없이 잘 나오네요.
전형적인 Grub의 iso부팅 모습입니다. 아무키나 누르면 ISO로 부팅됩니다.
POWER RECOVER.ISO로 부팅이 완료되었습니다.
3. 멀티부팅은 menu.lst 구성기능을 이용하여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멀티부팅 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menu.lst를 선택하고 복구 파티션을 구성합니다.
menu.lst는 사용자가 만든 파일을 recovery파티션에 직접 복사하여야 하네요
저는 아까 구성해둔 IMXRS GUI .WIM과 POWER RECOVER.ISO를 이용하여 menu.lst 멀티부팅을 구성해 보았습니다.
핫키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전형적인 GRUB 멀티부팅 화면이 나타나며 작동합니다.
저는 아주 기초적인 2가지만 멀티부팅으로 구성했지만 GRUB고수분들은 화려한
인터페이스의 화면구성도 가능한 것으로 압니다. ^^
---
저는 윈도우상태에서만 테스트를 햇었는데
이화우님께서 알려주셔서 PE에서 실행해 보니
윈도우XP사용자들을 위한 mbr선택창이 나오게
되네요. ^^; XP유저까지 세심하게 배려하셨네요^^b
--
2015.01.11 금일 보내주신 파티션id 07 지원 수정본입니다.
부트로더는 기존 윈도우나 복구파티션에 존재하는 것을 이용하게 수정이 되었네요.
--
Grub For Recovery Solution 완성버전은 GRUB의 부팅가능 미디어별 복구파티션 구성을
별다른 수고로움없이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기능들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사실 GRUB의 강력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불친절한 UI와 불편한 메뉴편집 기능때문에
사용을 꺼렸으나 이화우님의 Grub For Recovery Solution으로 인하여 일반 MBR처럼
아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테스트 기회를 주신 이화우님께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
'따라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OKR 8.1 리눅스버전 미번역 부분 한글화 (0) | 2015.02.08 |
|---|---|
| IMXRS PLUS 업데이트 살펴보기 스크린샷 (0) | 2015.01.30 |
| okr.efi 64bit pe부팅 - 내용추가 (0) | 2015.01.02 |
| OKR8.1 리눅스버전 한글화방법 - 로케일파일 수정업로드 (0) | 2014.12.30 |
| 삼보 비스타 버전 살펴보았습니다. (0) | 201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