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하기

스카이레이크 노트북에 윈도우7용 LG SMART RECOVERY 이식하기

benari 2016. 1. 26. 23:29



 요즘 데스크톱이나 노트북을 구입하면 스카이레이크 시스템인 경우가 많습니다.

최신 사양인 만큼 윈도우도 최신 버전의 윈도우8 이나 윈도우10을 기본으로 지원하구요.

하지만 아직도 우리나라의 PC사용환경은 윈도우7에 머무른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물론 개인적으로는 데스크톱에 윈도우10을 사용하고 있고 별다른 문제없이 공공사이트나

업무사이트를 이용하고는 있는데 이런 문제에 익숙하지 못한 지인이나 가족들은 아직도 

윈도우7을 선호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뜬금없이 왜 이 글을 포스팅 하게 되었냐면 게임및 TV연결 노트북을 1대 구입을 하였는데 역시나

윈도우10을 기본으로 지원하고 있네요. 윈도우7을 사용하려면 직접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에

그 과정을 한 번 올려보려고 하는데 개인용노트북이 아니라 복구솔루션까지 구축이 필요하네요.

그래서 저의 다른 가족들도 사용법이 익숙한 LG 복구솔루션까지 이식해 보려 합니다. 

--------------------------------------------------------------------------------------


* 우선 스카이레이크 시스템에 윈도우7을 설치하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 구형 USB포트 지원을 위한  EHCI가 제거되어 있다.

 - 이로 인해 윈도우7 설치과정과 윈도우7용 LG 복구솔루션에서 USB 방식의 키보드와

   마우스가 동작하지 않는다.

- 해결책으로는 스카이 레이크 시스템에 적용된 xHCI드라이버를 BOOT.WIM 통합하여

   윈도우7과  LG 복구솔루션에서 usb마우스가동작하게 만든다.

--------------------------------------------------------------------------------------

* 준비물

  - 윈도우8 이상의 PE USB * 필수

  - 윈도우7용 LG 복구솔루션이 살아있는 LG PC * 선택

    (아래 LG SMART RECOVRY PE를 다른 경로로 구하시면 필요없습니다.)


  - LG SMART RECOVRY 센터 DVD * 선택

    (LG SMART RECOVRY 윈도우용 설치본을 다른 경로로 구하시면 필요없습니다.) 


 - LG SMART RECOVRY PE * 필수

  - xHCI 드라이버가 통합된 윈도우7 USB * 필수


* 작업 과정


1. LG SMART RECOVERY  BOOT.WIM에 xHCI 드라이버 통합


1) 일단 LG 복구솔루션의 PE영역을 적출합니다.

해당 위치는 메인디스크의 맨 앞 1.5.GB 파티션이며 파티션ID12로 숨김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해당 파티션을 BOOTICE를 실행하여 파티션 숨김 해제를 한 뒤  다음 그림처럼 모두 선택하여

압축을 하거나 적절한 폴더에 복사하여 저장합니다.





2) BOOT.WIM에 통합할 윈도우7용 xhci드라이버를 적출합니다.

보통 파티션ID 12에서 LG SR PE를 적출했다면 해당 PE는 32비트용 입니다.

그러므로 xHCI 드라이버도 32비트용을 준비하시면 됩니다. 다음처럼 32비트용을

c:에 usb3이라는 폴더로 압축을 풀어줍니다.





3) xHCI드라이버와 boot.wim이 모두 준비가 되었으면 관리자 모드로 명령어창을 실행합니다.


우선 작업경로를 맞추기 위하여

- c:루트에 빈 mount폴더를 하나 만든다

- 1)에서 적출해둔 sources 폴더에 있는 boot.wim은 c: 루트에 복사한다





 cmd창에서 c:\로 이동후 아래의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드라이버를 통합합니다.


dism /mount-wim /wimfile:boot.wim /index:1 /mountdir:mount
dism /image:mount /add-driver /driver:usb3 /recurse
dism /unmount-wim /mountdir:mount /commit




이제 LG 복구솔루션 PE에 스카이레이크용 xHCI드라이버 통합이 완료되었습니다.

아까 1)에서 적출해둔 sources 폴더에 작업을 완료한 boot.wim을 복사해 넣습니다.


2. 파티션 생성 및 LG SMART RECOVERY PE 설치



1) 윈도우8 PE USB로 부팅합니다. 

2) 파티션을 아래의 구조와 맞게 생성합니다.


1번 파티션 - 파티션용량 1.5GB 고정 (LG RECOVERY PE)

2번파티션 - 윈도우용 파티션

3번 파티션 - 데이터용 파티션 (생성하지 않아도 무방)

4번 파티션 - 15GB이상 백업이미지 저장용 파티션


현재 보이는 드라이브 레터는 윈도우PE상에서 보여지는 것으로

실제 윈도우로 부팅하면 WINDOWS가 C:로 잡히니 무시하셔도 됩니다. 



파티션을 생성하였으면 드라이버가 통합된 LG RECOVERY PE를 방금 생성한 1.5GB 파티션에 복사합니다.

이때 다음과 같이 폴더구조와 파일이 유지되게 복사하여야 합니다.





BOOTICE를 실행하여 1번 파티션의 ID를 12로 지정하고 숨김처리를 합니다.






LG RECOVERY PE의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윈도우7을 설치하시면 됩니다.


3. 윈도우7 설치 및 드라이버 설치


윈도우7 USB에 xHCI드라이버를 통합하는건 위에서 작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과정은 생략합니다. 혹은 이미 작업이 완료된 이미지를 준비하시면 편하겠죠.

윈도우7 usb로 부팅을 하고 위에서 생성한 2번째 파티션에 윈도우를 설치합니다.


* 윈도우 설치는 윈도우7 USB로 부팅하여 설치하는 정상적인 방법도 있지만 윈도우pe상에서

아래의 RsimageX등 imagex툴로 install.wim을 직접 윈도우 드라이브에 풀어주는 방식도 있습니다.

편한방법으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4. 윈도우용 LG SMART RECOVERY 및 F11 HOTKEY_MBR 설치


LG 복구솔루션은 아래와 같이 윈도우상에서 백업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보통 공장이미지에 함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적출 및 설치할 수는 없는데

LG 복구 DVD에 있는 LGSR 폴더에 설치프로그램이 존재합니다. 복구DVD에 있는 LGSR을 적당한

폴더에 복사후 설치합니다.


주) 만약 LG PC가 아니라면 설치 환경파일에 약간의 수정을 하여야 설치됩니다.

저작권 파일이므로 따로 알려드리진 않습니다만 검색하시면 금방 찾을 수 있습니다.


위의 LG SR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시스템 부팅시 복구영역으로 부팅할 수 있는

F11 진입키도 자동으로 활성화 됩니다. 물론 HOTKEY_MBR을 수동으로 설치하여도 가능

하지만 LG SR 프로그램 설치가 안전하고 쉽습니다.


* http://blog.daum.net/benari/5441145   HOTKEY_MBR 수동설치는 이 링크를 참고하세요. 



LG SMART RECOVERY의 기본적인 구축과 윈도우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이제 각종 드라이버나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됩니다.


5. 초기이미지 백업 및 복원영역 만들기


이 과정은 이전 글들과 중복된 내용이 많아서 이전 이미지를 재활용 하였습니다.


윈도우에 각종 프로그램과 드라이버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시스템 백업을 위하여

LG Smart Recovery를 실행하고 시스템 백업을 누릅니다.



시스템 백업이미지가 저장될 경로를 지정하고 고급설정을 눌러 백업파일의 압축률을 설정합니다.




백업이미지 저장경로와 백업방식을 모두 정하였으면 아래의 화면에서 확인을 눌러 백업을 시작합니다.

이때 아래의 빠른 백업을 체크하고 확인을 누르면 시스템이 재시작되면서 F11 복구솔루션상에서 백업이

진행됩니다. 어디서 백업을 하거나 상관없지만 윈도우상에서보다 복구솔루션상에서 백업을 하는 것이

백업 시간의 이익이 있습니다.



만약 빠른 백업에 체크를 하고 진행을 하면 시스템이 재시작되어 LG 복구솔루션으로 진입합니다.

* 이때 윈도우 설치과정에 LG PREP처리를 하였다면 F11을 누르지 않고도 바로 복구솔루션으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 방법은 따로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LG 복구솔루션으로 부팅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백업이 시작됩니다.





시스템 백업이미지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윈도우로 부팅하여 맨처음 생성해 두었던 백업이미지 파티션에 백업이미지를 복사하고

해당 파티션을 숨김처리하여 보호된 하드디스크 영역으로 만드시면 됩니다.




백업이미지를 백업이미지 파티션으로 복사하였으면 파티션ID를 12로 설정합니다.



복구솔루션 파티션과 백업이미지 파티션이 모두 숨김처리가 되어 이제 해당 파티션은 탐색기에서 나타나지 않습니다.

복구솔루션이 완벽하게 구축이 되었습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에도 초보자들을 위한 참고자료라 그림이 너무 많네요.